기타등등..

카포 사용법과 조옮김(어려운 코드를 쉬운 코드로 고치기)

히아1 2011. 10. 3. 13:43

 

코드바꾸어 부르기 - 조바꿈

[조바꿈의 필요성]

여러분은 step9에서 High Chord 만들기를 배웠습니다.그러나 해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High Chord를 누르기가 여간 어렵지 않습니다.대부분 노래책을 폈다가도 High Chord가 많은 노래를 만나면 피해가기가 일쑤지요.그럴때 쉬운 코드로 바꾸어 부를 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요?
또, 노래를 부르고 싶어도 음이 너무 높거나 너무 낮게 노래하게 되어있는 곡들도 부르기 싫어 집니다.이럴때 가장 좋은 방법은 사진과 같이 생긴 "카포(카포다스트의 줄임말)" 라는 도구를 사용하면 좋습니다. 하지만 항상 카포를 가지고 다닐수는 없겠지요.그럴때 노래부르기 쉬운 코드로 바꿀줄 알면 좋겠습니다.
음악에서의 조바꿈이란 아주 어려운 이론이지만 지금 여러분은 어려운 코드를 쉬운 코드로 바꾸어 부르기위해 사용할 것이므로 아주 단순한 규칙으로 쉽게 활용 할수 있습니다.다시한번 CDEFGABC를 기억해 주십시오.

[어려운 코드를 쉬운 코드로 바꾸기]

"사랑으로"라는 노래를 아시죠? 원래 "사랑으로" 라는 노래의 코드진행은 E코드로 시작합니다.그러면 이 노래 안에는 E,G#m,C#m,C#7,A,B7등의 코드로 노래를 부르게 됩니다.G#m,C#m,C#7의 세가지는 하이코드 입니다.왼손이 너무 힘들겠지요?쉬운 코드로 바꾸어 부를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요?할수 있습니다.

E장조 노래를 C장조로 바꾸어 봅시다.즉,E코드를 C코드로 바꾸는 것입니다. CDEFGABC를 생각해 보십시오.E가 C로 바뀌었다는 것은 -3도 낮아졌다는 의미이지요.그럼 나머지 코드도 모두 -3도로 내려보십시오.그림27을 보세요.



질문? 샾(#)은 모두 어디로 갔나요?
이상한게 당연하죠.여러분은 어려운 코드를 쉬운 코드로 바꾸고 있으므로 샾과 플랫은 모두 무시해도 됩니다.그러나 m(마이너)과 7(세븐)표시는 그대로 살려 두어야 합니다. 아주 쉽죠?

[참고]
만약에 이와 반대로 C장조에서 E장조로 조바꿈한다면 원래대로 #이모두 살아나겠 지요? 그래서 조바꿈 이론이 깊이 들어가면 어려워집니다.쉬운 코드를 어려운 코드로 바꾸려면 음악에서 사용되는 조성의 관계를 모두 알고 있어야 합니다.관심있는 분들은 음악이론 서적을 참고해 공부해 보시기 바랍니다.

이제 노래책을 펴고 펜을 들고 코드가 어려워 부르고 싶어도 피해 갔거나, 음이 목소리와 안 맞아 부르지 못했던 곡들의 코드를 바꾸어 보십시오. 실제로 많이 많이 활용해 보는것이 가장 중요합니다.이젠 정말로 여러분이 부르지 못할 노래는 없어진 셈입니다.가장 신나는 순간이지요.


흔히 통기타를 치며, 노래에 집중을 하고자 할때는 꼭 초보가 아니더라도 복잡한 코드는

반갑지 않습니다. 위 조견표를 보고 코드를 쉬운 코드로 바꾸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악보상의 코드가 자신의 목소리와 key가 맞지 않을 때도 사용하시면 됩니다.

표가 이해가 안될시 기타음계부분과 참고해서 이해하시길...



카포(Capodasto) 사용법

카포(Capo: Capodasto의 준말)는 기타의 여섯 줄을 눌러서 고정시켜 주는 기구로 코드 전체의 음정을 옮기는 역할을 한다.

쉽게 말해서 카포로 여섯 줄을 누르는 위치를 너트라고

생각하면 된다.

카포 사용법 1 (어려운 코드를 쉬운 코드로...)

    아래의 코드 그림은 카포를 3째 칸에 설치한 경우로 어려운 코드가 누르기에

    아주 편한 코드로 바뀌었다. 누르는 폼은 바뀌었지만 코드의 음정은 변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카포를 사용하면 어려운 코드를 쉽게 바꾸어 칠 수 있다.

    특히 포크 기타에서는 개방현이 많이 포함된 오픈 코드를 사용하는 것이

    많은 음색과 여운이 있는 소리를 얻을 수 있고 누르지 않은 손가락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기교를 덧붙일 수가 있기 때문에 카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카포 사용법 2

    * 코드 폼은 그대로 둔 채 Key(조)만 바꾸는 역할 …카포 사용의 또 다른 목적은 조옮김이다. 대체로 여자의 노래는 남자가 부르기에 낮다.

    이때 카포를 사용하면 카포를 끼운 플렛 수만큼 음정이 올라가므로 자기 목소리에

    맞는 Key(조)를 찾을 수 있다. 이때 코드는 악보대로 누른다.

    <참고>

    높은 플렛에 카포를 사용하면 전체적으로 소리가 맑아진다.

    따라서 2대의 기타로 반주를 할 때는 앙상블을 이루기 위하여 한대의 기타는

    낮은 포지션에서 연주하고, 다른 한대는 카포를 사용해 하이 포지션에서

    연주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