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땅 ‘실면적=지적도’ 확인 필수
산과 들이 초록색 옷을 갈아입는 완연한 봄을 맞아 수도권 외곽의 전원주택용이나 귀농용 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 때를 놓칠새라 그동안 '개점휴업' 상태였던 시골 땅 전문 사이트와 중개업소들도 각종 매물을 내놓고 고객을 유혹하고 있다.
하지만 수도권은 토지거래허가에 묶여 매매 자체가 어렵고, 수도권 외곽 땅도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낭패를 보기 쉽다. 시골 땅 매수시 주의사항을 알아본다
값싼 미끼용 매물 수두룩
발품 팔아 현장확인을
각종 규제도 많아
쓸모없는 땅 부지기수
#인터넷 미끼용 매물을 주의하라
평소 은퇴 후 귀농을 꿈꾸어 온 한 중견업체 임원인 K씨(54.서울)는 최근 한 부동산정보사이트에서 강원도 홍천지역의 토지 매물을 검색하다가 예상보다 훨씬 저렴한 매물을 무더기로 발견했다. 현지의 몇몇 중개업소가 인터넷에 올린 매물 가운데는 전원주택을 짓고 농사를 지을 수 있는 관리지역 농지 상당수가 3.3㎡(1평)당 6만~10만원선에 나와 있었다. 평소 전화문의 등을 통해 파악해온 시세 10만~20만원의 절반 수준이었다. 하지만 직접 중개업소를 찾아가자 중개업자는 말을 바꿨다. 실제 중개업자가 내놓은 매물은 인터넷상에 올려놓은 것 보다 배 가량 비쌌다. 인터넷 상에 미끼용 매물을 올려놓고 수요자를 현혹시키는 사례는 강원도 홍천.춘천.인제 등 수도권 밖 매물을 소개하는 중개업소 사이트에서 자주 발견된다.
#중개업자 말 믿지말고 반드시 현장 확인을
최근 현지 중개업자의 말만 믿고 강원도 인제에 전원주택용 땅을 가계약 했던 P씨(45.남)는 현장에 직접 가보고는 바로 계약을 파기했다. 토지대장에 2970㎡(900평)으로 표시된 땅은 실제로는 일부가 개울(하천)과 사도(私道)에 편입돼 1980㎡(600평)에 불과했다. 또한 가격이 시세보다 지나치게 저렴하면 쓸모없는 땅인 경우가 많다. 앞서 P씨는 홍천군 내촌면에 시세의 3분의 1수준인 3.3㎡당 4만원대 땅이 있다고 해 매입하기 위해 현장을 찾았지만 지목이 밭인 그 곳 땅은 경사가 가파른 산자락인 데다 나무가 울창하게 자라 전혀 농사를 지을 수 없는 황무지나 다름없었다. 지적도상으로 보면 완벽한 입지지만 주변에 축사시설 등이 있는 경우도 흔하다. 홍천군 관계자는 "시골 땅의 경우 지적도상 면적과 실제 면적이 다른 경우가 흔하다"며 "잔금 지불전에 반드시 측량을 통해 확인해야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수도권 밖 땅도 보이지 않는 규제가 많다
수도권의 경우 거의 대부분의 토지가 토지거래허가를 받아야 만 살수 있는 반면 강원도 등지의 땅은 비교적 거래규제가 느슨한 편이다. 하지만 군사시설보호구역,문화재보호구역 등의 각종 규제에 묶여 있기 때문에 사전에 이를 확인하지 않으면 나중에 낭패를 볼 수 있다. 실제 홍천군 문화재보호구역 내 토지의 경우 반경 500m 이내는 층수가 4층 이하로 제한되고, 건축허가도 문화재청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까다롭다. 이 때문에 문화재보호구역 내 토지는 다른 지역보다 통상 10~20% 정도 싼 편이다. 아울러 도로에 접해있는 땅인지,전기와 식수를 얻기에 용이한 곳인지도 실제 살고 있는 동네 주민들에게 반드시 확인할 필요가 있다.
박인호 기자(ihpark@heraldm.com)
'생각하는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운전면허 시험요령 (0) | 2009.01.09 |
---|---|
[스크랩] 다양하고 재미있는 상식여행 (0) | 2009.01.09 |
[스크랩] 최강 프레젠테이션 기술 (0) | 2008.10.17 |
[스크랩] 현명하게 배우는 법 (0) | 2008.10.16 |
[스크랩] 두쪽을 가져야 한다 (0) | 2008.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