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B, PDP, PDA, PMP, PSP는 무엇일까?
1. DMB
위성과 지상파 주파수를 이용한 신개념의 방송·통신 융합서비스.
음성·영상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변조해 고정용이나 휴대용·차량용 수신기에 제공하는
멀티미디어방송 서비스를 말한다.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의 줄임말이다.
디지털오디오방송(DAB : Digital Audio Broadcasting) 기술에 바탕을 두며,
여기에 멀티미디어방송 개념이 더해져 동영상과 데이터 정보를 추가로 보낼 수 있는 서비스이다.
휴대폰·PDA·차량용 단말기 등을 통해 이동 수신이 가능할 뿐 아니라,
오디오·비디오·데이터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방송과 쌍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본격적인 방송통신의 융합시대를 알리는 신호탄으로 받아들여진다.
송출 수단에 따라 지상파 DMB와 위성 DMB로 나뉜다.
지상의 기지국에서 주파수를 통해 프로그램을 전송한다.
한국에서는 2004년 3월 기존의 VHF 12번 채널(주파수 204~210㎒)과 8번 채널(주파수 180~186㎒)을 이용해
서비스를 실시하기로 확정하였다. 지상파TV 한 채널에 3개의 DMB 사업자 선정이 가능하며,
한 사업자는 1개 TV방송과 3개 라디오방송, 1개 문자방송 등을 제공할 수 있다.
2005년 3월 지상파 DMB 사업자로 6개 업체가 선정되었는데,
지상파TV 사업자군에서는 KBS·MBC·SBS의 3개 방송사가,
비지상파TV 사업자군에서는 KMMB·한국DMB CBS·YTN DMB의 3개 컨소시엄이 사업자로 선정되었다.
미국에서는 2001년 미국 전역을 대상으로 방송서비스를 시작했고, 일본에서는 2004년 10월 상용서비스를 개시했다. 한국에서는 2002년 SK텔레콤이 일본기업 MBCo와 합작으로 이 사업을 추진하기 시작, 2004년 3월 SK텔레콤과 MBCo가 공동사용할 위성 <한별 1호>를 쏘아올렸다. 2004년 말에 위성 DMB 사업자로 SK텔레콤를 중심으로 150개 업체가 참여해 설립한 <TU미디어>가 최종 선정되었다. TU미디어는 2005년 1월 위성 DMB 시험방송을 시작했고, 같은 해 5월부터 상용서비스를 유료로 제공한다.
플라스마는 진공상태에서 네온 가스 등을 초고온으로 높여서 이온으로 바꾼 물질상태를 말한다. 이 플라스마 가스를 두 전극 사이에 넣고 전기를 통하면 입자들의 충돌이 심해져 빛이 일어난다.
PDP는 이런 원리를 이용하여 진공상태의 얇은 유리판 두 장 사이에 네온과 아르곤 가스를 넣고 전기를 통해준다. 이 때 발생하는 빛으로 화면에 발라진 형광물질을 자극하여 천연색 컬러를 방출한다.
PDP는 자연스러운 색을 나타내므로 어느 방향에서나 화면이 선명하며 밝다. 따라서 LCD와 함께 고화질텔레비전(HDTV)의 수상기 화면으로 널리 사용된다. 또한 PDP는 브라운관이나 LCD로는 만들기 어려운 40인치 이상의 대형화면을 얇고 가볍게 만들 수 있으므로 플라스마텔레비전(벽결이TV)의 디스플레이장치로도 알맞다.
작은 패키지 안에 펜(pen)입력장치, 문자인식기능, 풍부한 개인정보관리프로그램 및 응용프로그램을 제공해줄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장비로도 이용할 수 있다.
이 소형단말기(PDA)는 전자펜으로 액정(液晶)화면에 글을 쓰면 이를 인식하여 액정화면위에 나타내주므로 컴퓨터에 대한 지식이 없어도 쉽게 이용할 수가 있다.
또 모뎀(modem, 變復調장치)을 사용하여 팩스데이터 및 전자우편 정보를 원하는 곳과 상호 교환할 수 있으며, 패킷(packet) 라디오, 셀룰러 패킷 데이터(cellular packet data)와 같은 무선통신망을 이용해 원하는 상대방과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PC·노트북컴퓨터·휴대용정보단말기(PDA)·차량용 수신기 등에 무선랜과 같은 와이브로 단말기를 설치하면 길거리나 자동차·지하철 안에서도 이동중에 자유롭게 초고속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
와이브로 사업은 2002년 10월 정보통신부가 처음에 무선가입자용(N-WLL)으로 쓰던 2.3㎓ 주파수 대역을 무선광대역인터넷용으로 다시 분배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그 뒤 정부는 무선광대역인터넷 명칭을 <와이브로(WiBro)>로 정하고, 삼성전자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개발한 기술표준 <HPi>을 국내의 무선광대역인터넷 기술표준 초안으로 확정하였다.
2005년 1월 정보통신부가 와이브로 사업자로 KT, SK텔레콤 등을 선정하였으며, 2006년 6월 30일 마침내 KT와 SK텔레콤이 서울 일부지역에서 세계 최초로 와이브로 상용서비스를 시작하였다.
2006년 8월 삼성전자가 스프린트·인텔·모토로라 등 미국기업과 와이브로 분야협력 및 상용서비스를 위한 전략적 제휴를 맺었으며, 2007년 10월 한국의 와이브로 기술이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전파통신총회에서 3세대 이동통신(IMT-2000)의 국제표준으로 채택되기에 이르렀다.
유비쿼터스는 단독으로 쓰이지 않고 유비쿼터스 컴퓨팅,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와 같이 말을 덧붙인 형태로 쓰인다. 유비쿼터스 컴퓨팅(Ubiquitous Computing)은 언제 어디서나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유비쿼터스 네트워크(Ubiquitous Network)는 언제 어디서든 네트워크에 접속해 컴퓨터를 쓸 수 있는 환경을 이른다.
노트북 컴퓨터나 PDA의 보급, 광대역통신이나 무선 LAN의 보급으로 그런 환경에 가까이 가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본래의 유비쿼터스는 여기서 더 나아가 휴대할 수 있어 언제 어디서나 쓸 수 있는 착용식 컴퓨터(wearable computer)는 물론, 몸에 지니지 않아도 어떤 공간에 갖가지 컴퓨터를 집어넣어 그것들이 서로 동작함으로써 사용자가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컴퓨터를 쓸 수 있는 환경을 가리킨다. 이것이 실현되려면 모든 네트워크나 컴퓨터의 표준화가 절실하다. 이러한 제약으로 2004년 현재 일반화되어 있지는 않지만, 휴대성과 시공을 뛰어넘는 편의성 때문에 세계적으로 개발 경쟁이 일고 있다
'기타등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배워두면 요긴할 매듭 묶는 방법 (0) | 2009.08.11 |
---|---|
쉽고 빠른 무료 디스크 조각모음 프로그램, Auslogics Disk Defrag (0) | 2009.07.14 |
[스크랩] 컴에 깔아두면 유용한 s/w (0) | 2009.07.14 |
[스크랩] 제라늄-제라늄의 종류 (0) | 2009.07.03 |
PC-Clean 악성코드제거프로그램 무료/넷피아제공 (0) | 2009.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