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축문 쓰는 요령
아래는 귀하의 부친 축문입니다. 갑자가 아니고 계해입니다.
6하원칙에 유사한 순서로 고하고 제사를 받으시라는 줄거리로 구성되어 있다. 축문 역시 최근 한글축문이 많이 보급되고 있다. 한글축문은 한자축문의 내용이나 형식에 구애될 필요없이 자연스러운 한글문체로 6하 원칙에 유사한 내용을 담아 조상에 대한 추모의 정을 표현하면 족하다. 축문의 규격은 대략 16절지 크기의 한지를 사용하면 무방하다.
▶ 축문 작성법
아버님과 어머님, 어느덧 해가 바뀌어 아버님(또는 어머님)돌아가신 날이 다시 돌아오니 하늘과 같이 크고 넓으신 은혜를 잊지 못하여, 삼가 맑은 술과 여러 가지 음식을 드리오니 흠향하여 주시옵소서.
▶ [작성법]
유 (維) : '이제' 라는 뜻의 예비음이다.(이어 내려온다는 뜻 )
세차(歲次) : 해의 차례가 이어져 온다는 뜻이다. 유세차는 축문 첫머리에 항상 쓰는 문투이다.
갑술(甲戌) : 제사 지내는 해 즉, 년의 간지를 써 준다.
정미(丁未) : 돌아가신 달 초하루의 일진을 써 준다.
삭(朔) : 음력 초하루라는 뜻인데, 제사일이 초하루가 아니어도 항상 똑같이 쓴다.
계축(癸丑) : 돌아가신 날의 일진을 써 준다.
효자(孝子) : 효자는 부모 기제에 맏아들이라는 뜻이고 이 효(孝)자는 '맏이효' 자(字)로 제사를 지낼 권리와 의무가 있다는 뜻이다. 조부모 제사에는 효손(孝孫), 증조부모 제사에는 효증손(孝曾孫), 고조부모 제사에는 효현손(孝玄孫)이라 써 준다. 길동(吉東) : 제사를 모시는 자손의 이름을 써 준다. 위 사람이나 남편이 제주일 때는 이름을 안쓰는 가문도 있다.
감소고우(敢昭告于) : 삼가 밝게 고함. 아내에게는 감(敢)자를 쓰지 않고 소고우(昭告于)라고 쓰고 아들에게는 감소(敢昭)를 쓰지 않고 고우(告于)라고 쓴다. 현(顯) : 모시는 대상이 손위사람인 경우에 쓴다. 즉 자손이 망부(亡父)에 대한 경어로 높혀서 말하는 것이다. 손아래 사람의 기제일 때는 망(亡)을 쓰고, 부인일 때는 망실(亡室) 또는 고실(故室)이라고 쓴다.
현고(顯考) : 현고는 아버지의 기제 일 때 쓴다. 어머니의 기제에는 현비(顯), 할아버지 기제일 때는 현조고(顯祖考), 할머니 기제일 때는 현조비(顯祖)라 쓴다. 처사(處士), 학생(學生) : 고인의 관직이 없을 때 처사 또는 학생이라고 쓰며 고인이 관직을 가졌을 때는 고인의 관직을 그대로 쓴다. 부군(府君) : 높여서 하는 말이다.
세서천역(歲序遷易) : 해가 바뀌었다는 뜻이다.
휘일부림(諱日復臨) : '돌아가신 날이 다시 돌아오니' 라는 뜻이다. 아랫사람의 기제사에는 망일부지(望日復至)라 쓴다.
추원감시(追遠感時) : 세월이 흐를수록 더욱 생각이 난다는 뜻이다.
호천망극(昊天罔極) : 흠모하거나 공손함이 클 때만 쓰되 부모의 경우에만 쓴다. 불승영모(不勝永慕)는 조부 이상의 경우에 쓰는데 뜻은 길이 흠모하는 마음 이길 수 없나이다의 뜻이다. 불승감창(不勝感愴)은 남편과 백숙부모의 경우에만 쓰는데 가슴 아픔을 이길수 없다는 뜻이며 불승비고 (不勝悲苦)는 아내의 경우에 쓰고 정하비통(情何悲通)은 형의 경우에 쓰며 심훼비염(心毁悲念)은 아들의 경우에 쓴다.
근이(謹以) : 삼가라는 뜻이다. 아내와 아랫사람에게는 자이(慈以)라 쓴다.
청작서수(淸酌庶羞) : 맑은 술과 여러 가지 음식이라는 뜻이다.
공신전헌(恭伸奠獻) : 공경을 다해 받들어 올린다는 뜻이다.
상향(尙饗) : 흠향하십시오의 뜻이다.
※ 亡日復至 : 죽은 날이 돌아옴.
※ 不勝憾愴 : 스스로 많은 느낌을 이기지 못합니다.
※ 여자위의 경우 본관성씨를 쓰며 남자위에는 학생(학생)을 쓰나 만약의 경우 남자가 벼슬을 했을 때 학생대신에 그 벼슬의 관직을 쓰며 그의 부인은 남편의 관직명을 따라서 유인대신에 관명을 씁니다.
※ 축문은 세로 쓰기를 합니다. |
'생각하는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 즉시 행동하는 습관이야말로 최대의 재산 ** (0) | 2009.12.08 |
---|---|
[스크랩] ...왜냐하면 나는 아주 비싼 몸이니까. (0) | 2009.12.08 |
[스크랩] 평수 쉽게 계산하는 법 (0) | 2009.09.28 |
[스크랩] 주부 18년차가 밝히는 알뜰한 살림비법 (0) | 2009.09.22 |
[스크랩] 인생의 방향 / 신기 (0) | 2009.09.20 |